Python 메모리 구조와 객체 모델
소개
Python의 메모리 구조와 객체 모델을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버그 없는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 이 글에서는 Python이 메모리를 관리하고, 객체를 처리하며, 다양한 내부 메커니즘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.
📋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
📚 주요 주제
- 객체 모델: Python의 “모든 것은 객체” 철학과 id(), is, sys.getsizeof() 활용
- 메모리 아키텍처: CPython의 계층적 메모리 구조 (Arena → Pool → Block)
- 참조 카운팅: 객체 생명주기 관리와 메모리 해제 메커니즘
- 가비지 컬렉션: 순환 참조 해결을 위한 세대별 GC
- 메모리 최적화: slots, weakref, gc 모듈을 활용한 최적화 기법
🎯 학습 목표
- CPython 내부 메모리 관리 방식 이해
- 참조 카운팅과 가비지 컬렉션의 동작 원리 파악
- 메모리 사용량을 50% 이상 절감하는 최적화 기법 습득
- 메모리 누수 디버깅 및 프로파일링 실전 활용
📊 포함된 다이어그램
6개의 Mermaid 다이어그램으로 복잡한 개념을 시각화했습니다:
- Python 객체 생명주기 전체 흐름
- CPython 메모리 아키텍처 계층 구조
- 참조 카운팅 증가/감소 흐름
-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 프로세스
- slots vs dict 메모리 구조 비교
- 강한 참조 vs 약한 참조 비교
⏱️ 예상 읽기 시간
약 25-30분 (코드 예제 실습 포함 시 45분)
Python 객체 생명주기 전체 흐름:
graph TD
A[객체 생성 요청] --> B{크기 확인}
B -->|≤ 512 bytes| C[PyMalloc<br/>메모리 풀 사용]
B -->|> 512 bytes| D[OS malloc<br/>직접 할당]
C --> E[객체 초기화<br/>refcount = 1]
D --> E
E --> F[객체 사용<br/>참조 추가/제거]
F --> G{refcount > 0?}
G -->|Yes| F
G -->|No| H[즉시 메모리 해제]
F --> I{순환 참조?}
I -->|Yes| J[GC 추적 리스트 등록]
J --> K[세대별 GC 대기]
K --> L{GC 트리거}
L -->|Gen 0: 700개| M[GC 수집 실행]
L -->|Gen 1: 10회| M
L -->|Gen 2: 10회| M
M --> N{도달 가능?}
N -->|Yes| O[다음 세대로 승격]
N -->|No| P[메모리 해제]
O --> K
style A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H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P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M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1. 파이썬의 모든 것은 객체다: Object의 기본
1.1 파이썬의 객체 모델
Python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“모든 것이 객체”라는 것입니다. 변수는 단순한 메모리 공간이 아니라, 객체를 가리키는 이름(Name) 또는 참조(Reference)입니다.
#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
x = 42
y = x
# x와 y는 같은 객체를 가리킵니다
print(x is y) # True
Python의 모든 객체는 세 가지 핵심 속성을 가집니다:
- 식별자 (Identity): 객체의 고유한 메모리 주소
- 타입 (Type): 객체의 자료형
- 값 (Value): 객체가 가진 데이터
x = 42
print(f"식별자: {id(x)}") # 메모리 주소
print(f"타입: {type(x)}") # <class 'int'>
print(f"값: {x}") # 42
1.2 id() 함수와 객체의 고유성
id() 함수는 객체의 메모리 주소(고유 식별자)를 반환합니다. 이는 is 연산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.
a = [1, 2, 3]
b = [1, 2, 3]
c = a
print(f"id(a): {id(a)}")
print(f"id(b): {id(b)}")
print(f"id(c): {id(c)}")
# is 연산자는 id가 같은지 확인합니다 (같은 객체인지)
print(a is c) # True - 같은 객체
print(a is b) # False - 다른 객체 (값은 같지만)
# == 연산자는 값이 같은지 확인합니다
print(a == b) # True - 값이 같음
is vs == 비교:
is: 두 변수가 같은 객체를 가리키는지 확인 (identity 비교)==: 두 객체의 값이 같은지 확인 (value 비교)
# None, True, False는 싱글톤 객체입니다
a = None
b = None
print(a is b) # True - 같은 None 객체
# 작은 정수는 캐싱됩니다 (-5 ~ 256)
x = 256
y = 256
print(x is y) # True
x = 257
y = 257
print(x is y) # False (CPython 구현에 따라 다를 수 있음)
1.3 sys.getsizeof() 함수와 객체의 크기
sys.getsizeof() 함수는 객체가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반환합니다.
import sys
# 다양한 타입의 메모리 크기 확인
print(f"int(0): {sys.getsizeof(0)} bytes")
print(f"int(100): {sys.getsizeof(100)} bytes")
print(f"int(10**100): {sys.getsizeof(10**100)} bytes") # 큰 정수는 더 많은 메모리 사용
print(f"str(''): {sys.getsizeof('')} bytes")
print(f"str('hello'): {sys.getsizeof('hello')} bytes")
print(f"list([]): {sys.getsizeof([])} bytes")
print(f"list([1,2,3]): {sys.getsizeof([1,2,3])} bytes")
print(f"dict({{}}): {sys.getsizeof({})} bytes")
print(f"dict({{'a':1}}): {sys.getsizeof({'a':1})} bytes")
getsizeof()의 한계점:
sys.getsizeof()는 객체 자체의 크기만 반환하며, 객체가 참조하는 다른 객체의 크기는 포함하지 않습니다.
import sys
# 리스트가 참조하는 객체들의 크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
list1 = [1, 2, 3]
list2 = [[1, 2, 3], [4, 5, 6], [7, 8, 9]]
print(sys.getsizeof(list1)) # 작은 크기
print(sys.getsizeof(list2)) # list1과 크기 차이가 크지 않음
# 실제 총 크기를 계산하려면 재귀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
def get_total_size(obj, seen=None):
"""재귀적으로 객체의 전체 크기 계산"""
size = sys.getsizeof(obj)
if seen is None:
seen = set()
obj_id = id(obj)
if obj_id in seen:
return 0
seen.add(obj_id)
if isinstance(obj, dict):
size += sum([get_total_size(v, seen) for v in obj.values()])
size += sum([get_total_size(k, seen) for k in obj.keys()])
elif hasattr(obj, '__dict__'):
size += get_total_size(obj.__dict__, seen)
elif hasattr(obj, '__iter__') and not isinstance(obj, (str, bytes, bytearray)):
size += sum([get_total_size(i, seen) for i in obj])
return size
print(f"list2 전체 크기: {get_total_size(list2)} bytes")
2. CPython 메모리 관리의 비밀
2.1 CPython의 메모리 아키텍처
CPython은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계층적 구조를 사용합니다:
graph TD
A[OS 메모리 할당자<br/>Operating System Memory] --> B[Arena<br/>256KB 단위]
B --> C[Pool<br/>4KB 단위]
C --> D[Block<br/>8, 16, 24, ... 512 bytes]
style A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2px
style B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style C fill:#f3e5f5,stroke:#7b1fa2,stroke-width:2px
style D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계층 구조 설명:
- Arena: 256KB 크기의 메모리 블록, OS로부터 직접 할당받음
- Pool: 4KB 크기, 같은 크기의 블록들로 구성
- Block: 8바이트 단위로 증가 (8, 16, 24, …, 512 bytes)
# 작은 객체들은 메모리 풀에서 효율적으로 관리됩니다
# 512 bytes 이하의 객체는 pymalloc을 통해 관리
small_list = [1, 2, 3] # Pool에서 할당
# 큰 객체는 OS의 malloc을 직접 사용
large_list = [i for i in range(1000000)] # OS malloc 사용
2.2 참조 카운팅 (Reference Counting)
Python의 기본 메모리 관리 기법은 참조 카운팅입니다. 각 객체는 자신을 참조하는 변수의 개수를 추적합니다.
import sys
a = []
print(sys.getrefcount(a)) # 2 (a 자체 + getrefcount의 임시 참조)
b = a
print(sys.getrefcount(a)) # 3 (참조 증가)
c = a
print(sys.getrefcount(a)) # 4 (참조 증가)
del b
print(sys.getrefcount(a)) # 3 (참조 감소)
del c
print(sys.getrefcount(a)) # 2 (참조 감소)
# 참조 카운트가 0이 되면 즉시 메모리 해제
참조 카운트가 증가하는 경우:
- 객체를 변수에 할당할 때
- 객체를 컨테이너(리스트, 딕셔너리 등)에 추가할 때
- 함수에 인자로 전달할 때
참조 카운트가 감소하는 경우:
- 변수가 스코프를 벗어날 때
- 변수에 다른 객체를 할당할 때
del문으로 변수를 삭제할 때- 컨테이너에서 객체를 제거할 때
참조 카운팅 흐름도:
graph LR
A[객체 생성<br/>refcount = 1] --> B{참조 추가?}
B -->|변수 할당| C[refcount++]
B -->|컨테이너 추가| C
B -->|함수 인자| C
C --> D{참조 제거?}
D -->|del 문| E[refcount--]
D -->|스코프 종료| E
D -->|재할당| E
E --> F{refcount == 0?}
F -->|Yes| G[메모리 해제]
F -->|No| D
style A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G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F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2.3 순환 참조 문제와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
참조 카운팅만으로는 순환 참조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.
import gc
import sys
# 순환 참조 예제
class Node:
def __init__(self, value):
self.value = value
self.next = None
# 순환 참조 생성
node1 = Node(1)
node2 = Node(2)
node1.next = node2
node2.next = node1 # 순환 참조!
print(f"node1 참조 카운트: {sys.getrefcount(node1)}")
print(f"node2 참조 카운트: {sys.getrefcount(node2)}")
# node1, node2를 삭제해도 서로를 참조하고 있어 메모리 해제 안 됨
del node1
del node2
# 가비지 컬렉터가 순환 참조를 정리
collected = gc.collect()
print(f"수거된 객체 수: {collected}")
세대별 가비지 컬렉션 (Generational GC):
Python의 gc 모듈은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을 사용합니다:
- Generation 0: 새로 생성된 객체
- Generation 1: Generation 0에서 살아남은 객체
- Generation 2: Generation 1에서 살아남은 객체 (오래된 객체)
graph TD
A[새 객체 생성] --> B[Generation 0<br/>새로운 객체]
B --> C{GC 실행<br/>700개 도달}
C -->|살아남음| D[Generation 1<br/>중간 수명 객체]
C -->|참조 없음| X1[메모리 해제]
D --> E{GC 실행<br/>10회 도달}
E -->|살아남음| F[Generation 2<br/>오래된 객체]
E -->|참조 없음| X2[메모리 해제]
F --> G{GC 실행<br/>10회 도달}
G -->|순환 참조 발견| X3[메모리 해제]
G -->|계속 사용 중| F
style A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B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style D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2px
style F fill:#f3e5f5,stroke:#7b1fa2,stroke-width:2px
style X1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X2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X3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import gc
# 현재 가비지 컬렉션 설정 확인
print(f"GC 임계값: {gc.get_threshold()}") # (700, 10, 10)
# 의미: Gen0에 700개 객체가 쌓이면 수집, Gen0 수집 10번마다 Gen1 수집, Gen1 수집 10번마다 Gen2 수집
# 세대별 객체 수 확인
print(f"세대별 객체 수: {gc.get_count()}") # (Gen0, Gen1, Gen2)
# 수동으로 가비지 컬렉션 실행
collected = gc.collect()
print(f"수거된 객체 수: {collected}")
# 추적 가능한 객체 목록
print(f"추적 중인 객체 수: {len(gc.get_objects())}")
3. 메모리 최적화 및 고급 관리 기법
3.1 slots를 이용한 메모리 절약
Python 객체는 기본적으로 __dict__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속성을 저장합니다. __slots__를 사용하면 __dict__ 생성을 막아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**dict vs slots 메모리 구조:**
graph LR
subgraph "일반 객체 (__dict__ 사용)"
O1[객체 인스턴스] --> D1[__dict__<br/>딕셔너리]
D1 --> K1[키: 'name']
D1 --> K2[키: 'age']
D1 --> K3[키: 'email']
K1 --> V1[값]
K2 --> V2[값]
K3 --> V3[값]
end
subgraph "__slots__ 객체"
O2[객체 인스턴스] --> S1[고정 슬롯 0<br/>name]
O2 --> S2[고정 슬롯 1<br/>age]
O2 --> S3[고정 슬롯 2<br/>email]
end
style O1 fill:#ffebee,stroke:#c62828,stroke-width:2px
style D1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style O2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S1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1px
style S2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1px
style S3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1px
import sys
# 일반 클래스 (__dict__ 사용)
class PersonNormal:
def __init__(self, name, age):
self.name = name
self.age = age
# __slots__ 사용 클래스
class PersonSlots:
__slots__ = ['name', 'age']
def __init__(self, name, age):
self.name = name
self.age = age
# 메모리 사용량 비교
p1 = PersonNormal("Alice", 30)
p2 = PersonSlots("Bob", 25)
print(f"일반 객체 크기: {sys.getsizeof(p1)} bytes")
print(f"일반 객체 __dict__: {sys.getsizeof(p1.__dict__)} bytes")
print(f"__slots__ 객체 크기: {sys.getsizeof(p2)} bytes")
# 대량의 객체 생성 시 메모리 차이
import tracemalloc
tracemalloc.start()
# 일반 클래스로 100,000개 객체 생성
persons_normal = [PersonNormal(f"Person{i}", i) for i in range(100000)]
current1, peak1 = tracemalloc.get_traced_memory()
tracemalloc.clear_traces()
# __slots__ 클래스로 100,000개 객체 생성
persons_slots = [PersonSlots(f"Person{i}", i) for i in range(100000)]
current2, peak2 = tracemalloc.get_traced_memory()
print(f"\n일반 클래스 메모리: {current1 / 10**6:.2f}MB")
print(f"__slots__ 클래스 메모리: {current2 / 10**6:.2f}MB")
print(f"메모리 절감: {(current1 - current2) / 10**6:.2f}MB ({((current1-current2)/current1)*100:.1f}%)")
tracemalloc.stop()
**slots의 제약사항:**
class Person:
__slots__ = ['name', 'age']
def __init__(self, name, age):
self.name = name
self.age = age
p = Person("Alice", 30)
# 제약 1: __dict__가 없어 동적 속성 추가 불가
try:
p.email = "alice@example.com" # AttributeError
except AttributeError as e:
print(f"오류: {e}")
# 제약 2: __weakref__가 없어 약한 참조 불가 (명시적으로 추가해야 함)
# __slots__ = ['name', 'age', '__weakref__']로 해결 가능
# 제약 3: 상속 시 주의 필요
class Employee(Person):
__slots__ = ['employee_id'] # 부모의 __slots__와 합쳐짐
def __init__(self, name, age, employee_id):
super().__init__(name, age)
self.employee_id = employee_id
3.2 weakref 모듈과 약한 참조
weakref 모듈은 객체를 참조하되 참조 카운트를 증가시키지 않는 약한 참조를 제공합니다. 이는 캐시나 순환 참조 방지에 유용합니다.
일반 참조 vs 약한 참조:
graph TD
subgraph "일반 참조 (Strong Reference)"
A1[변수 a] -->|refcount++| O1[객체]
A2[변수 b] -->|refcount++| O1
A3[변수 c] -->|refcount++| O1
O1 -.->|refcount = 3| M1[메모리 유지]
end
subgraph "약한 참조 (Weak Reference)"
B1[변수 a] -->|refcount++| O2[객체]
B2[weakref] -.->|refcount 증가 없음| O2
O2 -.->|refcount = 1| M2[a 삭제 시<br/>즉시 해제]
end
style O1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O2 fill:#e8f5e9,stroke:#388e3c,stroke-width:2px
style M1 fill:#e1f5ff,stroke:#0288d1,stroke-width:2px
style M2 fill:#fff3e0,stroke:#f57c00,stroke-width:2px
import weakref
import sys
class Data:
def __init__(self, value):
self.value = value
def __del__(self):
print(f"Data({self.value}) 객체 삭제됨")
# 일반 참조
data = Data(42)
ref1 = data
print(f"참조 카운트: {sys.getrefcount(data)}") # 3
# 약한 참조
weak_ref = weakref.ref(data)
print(f"참조 카운트: {sys.getrefcount(data)}") # 3 (약한 참조는 카운트 증가 안 함)
# 약한 참조로 객체 접근
print(f"약한 참조로 접근: {weak_ref()}") # Data 객체
print(f"값: {weak_ref().value}") # 42
# 원본 객체 삭제
del data
del ref1
# 약한 참조는 None을 반환
print(f"약한 참조 (삭제 후): {weak_ref()}") # None
weakref를 사용한 캐시 구현:
import weakref
class ExpensiveObject:
def __init__(self, name):
self.name = name
print(f"ExpensiveObject({name}) 생성 - 비용이 큰 작업 수행")
# WeakValueDictionary를 사용한 캐시
cache = weakref.WeakValueDictionary()
def get_object(name):
"""캐시에서 객체를 가져오거나 새로 생성"""
if name in cache:
print(f"캐시에서 {name} 가져옴")
return cache[name]
obj = ExpensiveObject(name)
cache[name] = obj
return obj
# 첫 번째 호출 - 객체 생성
obj1 = get_object("data1")
# 두 번째 호출 - 캐시에서 가져옴
obj2 = get_object("data1")
print(f"같은 객체? {obj1 is obj2}") # True
# 참조 제거
del obj1
del obj2
# 약한 참조이므로 객체가 자동으로 삭제됨
print(f"캐시 크기: {len(cache)}") # 0
# 다시 호출 - 새로 생성됨
obj3 = get_object("data1")
순환 참조 방지:
import weakref
class Parent:
def __init__(self, name):
self.name = name
self.children = []
def add_child(self, child):
self.children.append(child)
child.parent = weakref.ref(self) # 약한 참조 사용
class Child:
def __init__(self, name):
self.name = name
self.parent = None
def get_parent(self):
return self.parent() if self.parent else None
# 순환 참조 없이 부모-자식 관계 설정
parent = Parent("Parent")
child = Child("Child")
parent.add_child(child)
print(f"자식의 부모: {child.get_parent().name}")
# 부모 객체 삭제
del parent
# 약한 참조로 인해 부모 객체가 완전히 삭제됨
print(f"부모 객체: {child.get_parent()}") # None
3.3 gc 모듈 직접 제어하기
gc 모듈을 사용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직접 제어하고 메모리 누수를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.
import gc
# 가비지 컬렉션 비활성화/활성화
gc.disable()
print(f"GC 활성화 상태: {gc.isenabled()}") # False
# 대량의 객체 생성 작업 수행
data = [i for i in range(1000000)]
# 작업 완료 후 수동으로 GC 실행
gc.enable()
collected = gc.collect()
print(f"수거된 객체 수: {collected}")
# GC 통계 확인
stats = gc.get_stats()
for i, stat in enumerate(stats):
print(f"Generation {i}: {stat}")
# GC 임계값 조정
# 기본값: (700, 10, 10)
gc.set_threshold(1000, 15, 15) # 더 느슨한 설정
print(f"새로운 임계값: {gc.get_threshold()}")
메모리 누수 디버깅:
import gc
import sys
class LeakyClass:
instances = [] # 클래스 변수에 저장 - 메모리 누수 가능성
def __init__(self, value):
self.value = value
LeakyClass.instances.append(self) # 자기 자신을 리스트에 추가
# 객체 생성
for i in range(100):
obj = LeakyClass(i)
# obj 변수는 삭제되었지만 instances 리스트에 남아있음
print(f"메모리에 남아있는 인스턴스 수: {len(LeakyClass.instances)}")
# gc.get_referrers()로 객체를 참조하는 것 찾기
sample = LeakyClass.instances[0]
referrers = gc.get_referrers(sample)
print(f"참조자 수: {len(referrers)}")
for ref in referrers:
print(f"참조 타입: {type(ref)}")
# 메모리 누수 해결
LeakyClass.instances.clear()
gc.collect()
순환 참조 찾기:
import gc
# 순환 참조가 있는 객체들 찾기
def find_circular_references():
gc.collect() # 먼저 GC 실행
# 가비지로 수집된 객체들 확인
if gc.garbage:
print(f"수거되지 않은 객체 수: {len(gc.garbage)}")
for item in gc.garbage:
print(f"- {type(item)}: {item}")
# 참조 관계 확인
referents = gc.get_referents(item)
print(f" 참조하는 객체 수: {len(referents)}")
else:
print("순환 참조 없음")
# DEBUG 모드 활성화
gc.set_debug(gc.DEBUG_SAVEALL)
# 순환 참조 생성
class Node:
def __init__(self):
self.ref = None
a = Node()
b = Node()
a.ref = b
b.ref = a
del a
del b
gc.collect()
find_circular_references()
# DEBUG 모드 해제
gc.set_debug(0)
메모리 프로파일링과 함께 사용:
import gc
import tracemalloc
def profile_memory_with_gc():
"""GC와 함께 메모리 프로파일링"""
tracemalloc.start()
# GC 비활성화하고 객체 생성
gc.disable()
data = [list(range(1000)) for _ in range(1000)]
current, peak = tracemalloc.get_traced_memory()
print(f"GC 비활성화 시: {current / 10**6:.2f}MB (peak: {peak / 10**6:.2f}MB)")
# GC 활성화하고 수집
gc.enable()
collected = gc.collect()
current, peak = tracemalloc.get_traced_memory()
print(f"GC 실행 후: {current / 10**6:.2f}MB (수거: {collected}개)")
tracemalloc.stop()
profile_memory_with_gc()
핵심 포인트
객체 모델의 이해
- Python에서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이름(Name) 또는 참조(Reference)입니다
- 모든 객체는 식별자(Identity), 타입(Type), 값(Value) 세 가지 속성을 가집니다
id()함수로 객체의 메모리 주소를 확인하고,is연산자로 객체 동일성을 비교합니다sys.getsizeof()는 객체 자체의 크기만 반환하며, 참조하는 객체는 포함하지 않습니다
CPython 메모리 관리
- CPython은 Arena → Pool → Block 계층 구조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
- 참조 카운팅(Reference Counting)으로 객체의 생명주기를 추적합니다
- 순환 참조는 참조 카운팅만으로 해결할 수 없어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이 필요합니다
gc모듈로 가비지 컬렉션을 제어하고 메모리 누수를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
메모리 최적화 기법
__slots__를 사용하면__dict__생성을 막아 메모리 사용량을 50%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weakref모듈은 참조 카운트를 증가시키지 않는 약한 참조를 제공합니다- 약한 참조는 캐시 구현과 순환 참조 방지에 유용합니다
gc.collect()로 수동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고,gc.get_referrers()로 메모리 누수를 추적합니다
실무 적용
- 대량의 객체를 다룰 때는
__slots__사용을 고려하세요 - 캐시 구현 시
weakref.WeakValueDictionary를 활용하세요 - 메모리 프로파일링(
tracemalloc)과 가비지 컬렉션(gc)을 함께 사용하여 메모리 문제를 진단하세요 - 순환 참조가 의심될 때는
gc.set_debug(gc.DEBUG_SAVEALL)로 디버깅하세요
결론
Python의 메모리 구조와 객체 모델을 깊이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이론적 지식을 넘어 실무에서 직면하는 성능 문제와 메모리 이슈를 해결하는 핵심 역량입니다.
이 글에서 다룬 내용:
-
객체 모델의 기본: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이름이며,
id(),is,sys.getsizeof()로 객체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-
CPython의 메모리 관리: 계층적 메모리 구조, 참조 카운팅, 세대별 가비지 컬렉션을 통해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합니다.
-
고급 최적화 기법:
__slots__,weakref,gc모듈을 활용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메모리 누수를 방지합니다.
이러한 개념들을 실무에 적용하면:
-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
- 순환 참조로 인한 메모리 누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
- 프로파일링 도구를 사용하여 병목 지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
-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
Python의 “자동” 메모리 관리가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것은 아닙니다.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적절한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진정한 Python 전문가로 가는 길입니다.
다음 학습
이 글을 읽으셨다면 다음 주제로 넘어가보세요:
- Python GIL (Global Interpreter Lock) ← 다음 추천
- 메모리 구조를 이해했다면,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Python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세요
- Python Bytecode
- 바이트코드 수준에서 Python의 실행 메커니즘 이해
- Import 시스템 심화
- Exception Internals